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생생확대경]제4인뱅, 새 정부도 예정대로 추진해야

양희동 기자I 2025.04.14 05:30:00

조기 대선 국면, 정책 불확실성 커져
핀테크 혁신 등 은행권 경쟁 촉진 기회
제4인뱅, 표류·좌초하는 일 없어야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비대면 계좌 개설·대출·송금, 신분증 촬영과 얼굴 인식 등 본인 인증 기술 도입, 간편하고 직관적인 앱 사용 환경, 24시간·365일 영업, 야간·주말 대출 자동화 심사, ATM 출금·이체 수수료 무료.’

인터넷전문은행(인뱅)이 지난 2017년 출범한 이후 8년간 불러온 금융 혁신들은 일일이 다 헤아릴 수 없다. 2017년 4월 케이뱅크를 시작으로 같은해 7월 카카오뱅크, 2021년 10월 토스뱅크까지 인뱅 3사 체계가 구축됐고,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인뱅 출범 이후 시중은행들도 자사 앱에서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자체 캐릭터를 활용한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UI)을 도입했다. 더 이상 온갖 서류를 들고 은행 창구 앞에서 장시간 대기한 뒤 대출상담을 받지 않아도, 집에서 손쉽게 스마트폰 하나로 대출까지 가능해졌다. 이처럼 서비스 혁신과 경쟁을 촉진해 금융소비자 편익을 높인 인뱅의 성과들을 생활 속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 컨소시엄 현황. (자료=금융위원회)
하지만 인뱅 3사 체계가 확립된 이후 4년째 신규 업체 진입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기존 인뱅들이 주택담보대출 등 외형 성장 중심 수익기반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새로운 경쟁 촉진을 위해 제4인뱅 출범을 예고했고, 지난 3월 25~26일 이틀간 예비인가 신청 접수를 마쳤다. 제4인뱅 예비인가를 신청한 컨소시엄은 △소소뱅크 △포도뱅크 △한국소호은행 △AMZ뱅크 등 4곳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들 컨소시엄에 대한 예비인가 심사 결과를 오는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문제는 헌법재판소가 이달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고 조기 대선일(6월 3일)도 확정되면서,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여러 정책들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선 이후 새로운 대통령과 정부가 들어서면 금융당국 수장들이 모두 교체되면서, 이전 정부가 추진하던 정책들이 폐기되는 등 새 판 짜기에 들어갈 수 있어서다. 이로인해 제4인뱅도 예비인가 심사 결과 발표와 실제 출범 여부 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서를 접수한 4개 컨소시엄에 참여한 주주 현황을 보면 하나·우리·농협·부산·경남은행 등 기존 은행들과 메리츠화재·증권, 흥국생명·화재 등 보험·증권사, 카드사, LG CNS, KT 등 IT업체, 한국신용데이터 등 자금력과 기술력을 갖춘 주주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이 경쟁을 벌여 새로 출범할 제4인뱅은 차별화된 금융기법과 새로운 핀테크 기술로 또한번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기존 금융권에서 소외된 서민·자영업자, 비수도권 중소기업 등에 자금공급을 활성화하고, 주요 주주가 보유한 기술·정보 등과 연계한 대안신용평가모형 구축도 기대된다.

올 2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금금리는 빠르게 내려왔지만, 대출 금리는 인하 속도가 더뎌 은행들의 ‘이자 장사’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4인뱅은 기존 은행권에 경쟁과 금융혁신을 유도할 좋은 기회다. 조기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제4인뱅이 표류·좌초하는 일은 없어야한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